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적재산권86

X40. 저작권법 기타 1. 기타권리 저작권법 99조 2항은 “저작재산권자는 그 저작물의 영상화를 허락한 경우에 특약이 없는 때에는 허락한 날로부터 5년이 경과한 때에 그 저작물을 다른 영상저작물로 영상화하는 것을 허락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특약이 있는 경우에는 그 특약에 의하고, 특약이 없는 경우에는 허락한 날로부터 5년이 경과하면 저작재산권자는 제 3자에게 다른 영상저작물로 영상화 하는 것을 허락할 수 있다. 소설가가 자신의 소설에 대하여 제 3자에게 영상화를 허락한 경우 그 소설가가 영상화를 허락한 소설을 출판하는 것이가능한가?: 영상저작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소설/각본/미술저작물 또는 음악저잘물 등의 저작재산권은 영상저작물에 대한 양도추정규정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영상화를 허락한 소설가는 영상제작과는 .. 2022. 12. 6.
X39. 저작인접권 1. 저작 인접권 실연자의 권리는 크게 실연자 인격권, 실연자 재산권, 보상금청구권이 있으며, 실연자 인격권에는 성명 표시권과 동일성유지권만 존재하고 공표권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표권은 미공표 저작물에 인정되는 것이고 실연은 이미 공표를 한 것이므로 실연자의 권리에 공표권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수가 노래를 부른 경우 그 가수는 저작권법상 어떠한 권리를 가지는가?: 노래의 경우 저작자는 그 노래를 작사/작곡한 사람이다. 가수도 일정한 경우 보호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저작권법은 저작인접권이라는 권리를 두고 있다. 가수는 저작인접권자로서 가수가 부른 노래에 대하여 저작권법상 일정한 보호를 받는다. 1) 저작인접권의 개념 - 저작물의 창작자는 아니지만 저작물을 공중에게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실연자, 음반.. 2022. 12. 5.
X38. 저작재산권 제한 1. 저작재산권의 제한 저작재산권이 제한되는 경우 공표된 저작물을 인용할 때, 정치적 연설 등의 이용이 있을 때, 학교 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에 있어서는 출처를 명시해야 하지만 사적 이용을 위한 복제, 시사보도를 위한 이용, 비영리 목적의 공연/방송, 도서관 등에서의 복제, 시험 문제로서의 복제, 방송 사업자의 일시적 녹음/녹화, 저작물 이용과정에서의 일시적 복제 등에 있어서는 출처를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 중학생이 교내 수행평가를 위해 공표된 저작물을 복제 및 전송하는 행위는 저작권법상 문제가 되는가?: 원칙적으로 저작재산권의 침해가 되지만,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자가 수업목적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이러한 권리는 제한이 된다. 그러므로 중학생이 교내 수행평가를 위하여 공표된 저작물을 복제/전송.. 2022. 12. 4.
X37. 저작 재산권 1. 저작 재산권 저작인격권에는 공표권, 성명표시권, 동일성 유지권이 있고 저작 재산권에는 복제권, 공연권, 공중송신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2차저작물작성권이 있습니다. 백화점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음반을 구매하여 백화점 내에서 틀어주는 경우 저작법권상 어떻게 취급되나요?: 저작권법상 공연권 침해가 된다. 다만 청중이나 관중으로부터 당해 공연에 대한 반대급부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저작재산권이 제한되지만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의 공연은 예외입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행위는 공연권 침해가 되기에 저작권자의 허락을 얻어야 하니다. 1) 저작재산권의 종류 - 복제권: 인쇄, 사진촬영, 녹음, 복사, 녹화 외 그 밖의 방법으로 일시적/영구적으로 유형물에 고정하거나 다시 제작하는 권리 - 공연권: 저작.. 2022. 1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