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0 98. Patent Dispute 1. Actual Process of Patent Dispute When a patent dispute arises, the patentee must first determine whether his/her patent is likely to be invalidated. The patentee must extrac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disputed paten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nd determine whether he or she can prevail in the dispute.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goes through a similar process. By dete.. 2023. 1. 5. 98. 특허분쟁 1. 특허 분쟁의 실제 진행 과정 특허 분쟁의 발생 시 특허권자는 자신의 특허가 무효가 될 가능성이 있는지 우선 판단 해야 한다. 특허권자는 분쟁 특허와의 구성 요소 간의 차이점을 추출하여 차이점을 판단하고 자신이 분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침해 여부의 판정 또한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 분쟁을 발생시킨 발명을 확정, 특허 발명과 분쟁 특허 간의 동일점을 추출함으로써 두 특허 발명 간의 차이점을 판단하고 다음 행동 (민, 형사 재판이나 합의)을 결정하게 된다. 내 특허의 무효화 가능성이 없고 침해 여부가 확실할 때 손해배상 청구를 통해 자신의 특허권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국내 특허권 분쟁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민사, 즉 돈에 대한 것은 이의 신청을 통해 가처분 법원,.. 2023. 1. 5. 97. IP-related terms 1. Non-commercial implementation Article 107 (1) No. 3 - Non-commercial implementation means a business, except for the purpose of making a profit during implementation. 2. Non-obviousness It means that there is creativity to such an extent that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cannot easily implement from a known invention. It is also used a.. 2023. 1. 4. 97. 지적재산권 용어 모음 1. 비상업적 실시 특허법 제 107조제1항제3호 비상업적 실시란 업으로서 실시 중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을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2. 비자명성 출원된 발명이 특허받을 수 있기 위한 요건중 하나로서, 방명의 창작수준이 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공지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을 정도로의 창작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발명의 비용이성이라는 표현으로 쓰기도 한다. 3. 사시도 출원된 물품의 특징적인 면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게끔 방향을 설정하여 그린 도면 4. 상승작용 미 특허법 제 103조에 의해 비자명하여 특허성을 갖기 위해 결합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부분들의 합보다 더 큰 결과물을 생산하기 위해 반드시 결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요소 중 하나는 결합물에서.. 2023. 1. 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7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