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0

104. Patent Gazette Today, we will look a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specially “patent publications (Japan, Europe) and numbering system”.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System Japan has its own class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o the patent publication and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s, there are other publications. There is a type of correction publication by modifying the existing publications when cha.. 2023. 1. 13.
104. 특허 공보 오늘은 지식재산권, 그중에서도 “특허 공보(일본, 유럽)와 번호체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일본의 특허 공보 체계 일본은 일본 자체적 분류 체계가 있다. 특허 공개 공보와 특허 등록 공보 외 다른 공보도 존재하며 재공표 특허 공보라 하여 존재하던 특허에 변동 사항 발생 시 기존 공보를 수정해 제3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정정공보도 존재한다. 2. 유럽의 특허 공보 체계 유럽의 특허 공보 체계 또한 한, 미, 일과 크게 차이 없다. 하지만 한 가지 다른 점을 꼽자면 서치 리포트 라는 것이 있다. 서치 리포트란 특허 공개 시점에서 심사관이 특허 유무를 찾은 경우 특허 등록 가불가에 대한 소견을 문헌에 표시한 것이다. 3. 대응 특허 이렇듯 특허 체계는 각 나라별로 유사한 듯하면서도 배타적이다. 그 .. 2023. 1. 13.
103. Patent Gazette Today, we will look a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specially “patent information and patent publications (Korea, US)”. 1. Generation of Patent Information The role of the specification in the generation of patent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The specification clearly and concisely describes the claims of the patented invention as a book of rights, and serves to disclose the technology of th.. 2023. 1. 12.
103. 특허 공보 오늘은 지식재산권, 그중에서도 “특허 공보(일본, 유럽)와 번호체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1. 특허 정보의 생성 특허 정보의 생성에 있어 명세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명세서는 우선 권리서로서 특허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명확히, 간결하게 기재하며 기술 문헌으로서 발명의 기술을 상세히 공개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의 출원공개 제도는 발명의 출원 1년 6개월 후 출원된 발명을 공개한다 (출원인이 원하면 조기 공개도 가능하다). 이 출원공보의 생성은 특허 내용을 공개해 공익, 즉 산업발전에 이바지한다. 이어서 출원 특허가 특허권을 확보하면 특허 등록 공보가 발생한다. 특허 거절 시에는 공보의 발생이 없어 출원의 내용을 알 수 없게 된다. 2. 특허정보의 체계 특허정보의 체계는 쉽게 내용별, 그리고 시기별로 .. 2023. 1. 12.
반응형